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란 어떤 내용인가?(2부)
참이란 무엇일까요? 내가 이 사물을 보고 이 사물의 참된 모습을 그대로 내가 인식하는 겁니다. 즉 대상의 나의 인식과 일치하면 참이고, 인식과 일치 하지 않으면 거짓 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하면 나의 인식은 항상 참이 됩니다. 이 상태는 필연적으로 참이 됩니다. 이것은 객관적인 사물이 아니라 나와 마주하고 있는 대상이고, 이 대상은 내가 구성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구성한 것을 내가 인식해 버렸으니 나의 인식과 대상이 반드시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아무렇게나 대상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수학적, 기하학적,물리학적 방식으로 대상을 구성합니다. 따라서 수학적,기하학적,물리학적 명제는 선험적이 면서 필연적으로 참이 됩니다. 대상 세계도 당연히 수학적,기하학적,물리학적 법..
2023. 8. 16.
동양철학의 의미와 시대적 철학자들의 등장
쉽게 말해서 동양지역을 배경으로 탄생한 철학을 말합니다. 그 밑으로는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 합니다. 동양철학의 범주 동양철학은 한국,일본,중국 등 지리적인 위치 즉, 공간중심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고대 중세 근대 현대라는 시대적 구분 즉,시간중심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동양철학의 시대구분은 서양철학의 시대구분과 반드시 일치 하지 않습니다. 시대적 구분은 특정 역사적 사건과 관계가 있는데 동일한 시기에 동양에서는 일치하지 않는 사건도 있기 때문 입니다. 서양철학은 존재론,인식론,가치론이나 형이상학,인식론,윤리학,논리학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동양철학도 이러한 구분이 없는건 아니지만 이러한 구분방법이 반드시 일치 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동양철학을 학파의 이름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면 ..
2023.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