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말해서 동양지역을 배경으로 탄생한 철학을 말합니다.
그 밑으로는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 합니다.
동양철학의 범주
동양철학은 한국,일본,중국 등 지리적인 위치 즉, 공간중심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고대 중세 근대 현대라는 시대적 구분 즉,시간중심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동양철학의 시대구분은 서양철학의 시대구분과 반드시 일치 하지 않습니다.
시대적 구분은 특정 역사적 사건과 관계가 있는데 동일한 시기에 동양에서는 일치하지 않는 사건도
있기 때문 입니다.
서양철학은 존재론,인식론,가치론이나 형이상학,인식론,윤리학,논리학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동양철학도 이러한 구분이 없는건 아니지만 이러한 구분방법이 반드시 일치 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동양철학을 학파의 이름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면 유가 불가 도가 이렇게 말합니다.
여기서 끝에 '가'의 의미는 특정학문을 연구한 집단 또는 학파를 의미하거나 특정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교라고 하면 공자로부터 정리된 유학을 종교화한 것이되고,유가라고 하면 유학을 학문적 철학적 목적을
가지고 연구 하는것을 말합니다.
독일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는 인류의 모든 사상이 기원전 8C~3C 사이에 이미 완성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시대를 축의새대(Axial age)라고 합니다.
축은 무언가의 중심이되는 중요한 부분을 말합니다.어떤 사상의 중심이, 이 축의시대에 많이 등장 했습니다.
우리가 인류의 스승이라고 부를 만한 사람들이 이 시대에 등장했고,이 시대에 성립된 사상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축의시대에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철학이 등장했고,이스라엘 에서는
예례미야,이사야 같은 선지자가 등장 했습니다.인도에서는 불교를 창시한 석가모니가,중국에서는 춘추전국이라는
혼란의 시기에 공자,노자,묵자,맹자 등 제자백가들이 등장 했습니다.
동양철학의 규정
동양철학은 달이차면 기울고 달이 기울면 차는것과 같은 원융적 사고를 보이거나 신비적 체험 또는 깨달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때로는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공동체를 유지하는 것을 제일의 급선무로 보지만 공동체보다
개인의 삶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도 합니다.세속적인 삶에서 일정한 도리를 추구하기도 하지만 자연과 가까이
지내며 이 세상이 얼마나 허무한지 깨달으라고 말하기도 합니다.도덕 규범 질서 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도덕 규범
질서와 같은 문명을 없애버리자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그럼 '진짜 동양철학이 무엇이냐?'라는 의문에 답하게 되면
'신비롭고 허무하고 마음을 배우는게 동양철학이 아니냐?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그렇다면'공동체를 강조하고 질서를 세우고 끊임없이 자기수양을 하는 것이 동양철학이 아니냐?' 라고 묻는다면
그것도 동양철학이 맞습니다.하지만 이 또한 그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선호하는 정도는 각자 다르지만 꼭 "그것만이 철학이다"라고 할수 없습니다.
철학은 철학적 물음과 철학적 방법을 사용한다는 조건하에서 철학이라고 답할 수 있으며
이는 동양철학도 마찬가지 입니다
'철학,심리학,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뇌는 나를 속이고 있었네요.#뇌과학#참나#깨달음#행복# (0) | 2023.08.17 |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란 어떤 내용인가?(2부) (0) | 2023.08.16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란 어떤 내용인가?(1부) (1) | 2023.08.16 |
동양의 철학자 노자! 그를 서양의 대문호들이 극찬한 이유는.... (0) | 2023.08.15 |
서양철학(형이상학) (1) | 2023.08.13 |